위즈코로나북트래블(66)(2021.04.24.토)
<공간의 미래>(유현준지음)
-코로나가 가속화시킨 공간변화
학생들에게 꿈이 뭐냐고 물어보면 "나의 꿈은 재벌 2세인데,우리 아버지가 노력을 안 하신다"
1.인문 건축가 유현준의 신작이다.미래는 꿈꾸는 자들이 만든다.
전염병은 공간을 바꾸고,공간은 사회를 바꾼다.
2.2020년의 코로나 사태는 지구 온난화에 의해서 만들어진 하나의 현상으로 설명한다.최재천 교수
3.미래를 바꾸는 변수에는 기술 발달,전염병,기후 변화등이 있다.
4.45센티미터 이내에 들어오는 사람은 특별한 관계의 사람이다.연인이나 부모 자식 정도만 그 거리 안에 들어온다.
관계는 사람간의 거리를 결정한다.사람간의 거리는 공간의 밀도를 결정한다.공간의 밀도는 그 공간 내 사회적 관계를 결정한다.
심리를 파악하는 데 가장 중요한 것은 표정이다.
5. 우리가 보는 많은 권력은 공간이 만드는 보이지 않는 손에 의해서 만들어진다.시선이 모이는 곳에 위치한 사람은 권력을 가진다. 사람에게 시간적,공간적으로 자유를 많이 줄수록 관리자의 권력은 줄어든다. 공간 구조가 바뀌면 권력의 구조가 바뀐다.
*공간 디자인이 바뀌면 사화가 바뀐다.*
6.가장 사랑하는 것이 세상을 보는기준이 된다. 스마트폰이 세상을 보는 기준이 되어 가고 있다. 개인의 경험은 세상을 바라보는 기준이 되고,그 기준은 미래를 만든다.
7.인류 문명의 역사는 시공간 확장의 역사다. 코로나때문에 공간의 중요성을 더 많이 느끼게 되었다.
8.나를 위해서만 살기에도 벅찬 게 현대인의 삶이다.이런 배경이 비혼과 저출산으로 이어진다.
9.건축과 도시가 바뀌는 가장 큰 요소는 기후 변화와 전염병이다.
10.어떻게 하면 새로운 부자가 만들어지고,계층 간 이동 사다리가 복원될 수 있을까? 새로운 공간을 만들면 된다. 부의 이동이 쉽고 계층 간 이동 사다리를 복원하려면 상업이 발달해야 하고,그러려면 기술 혁명으로 새로운 공간을 만들어야 한다.새로운 공간을 만들면 새로운 부자가 만들어지는 기회가 형성된다.
11.자본주의 사회에서 돈을 벌기 위해서는 자본이 필요한데 자본은 동산과 부동산으로 나누어진다. 청년을 비롯한 저소득층 사람들은 둘 다 없다.이때 국가가 새롭게 기술혁명으로 저렴한 공간을 제공해 주는 것은 이들에게 부동산 자산을 주는 것과 같다.이 공간이라는 자산으로 부를 만들 수 있고,그렇게 새로 만들어진 공간은 계층 간 이동의 사다리가 된다.
12.미래는 다가오는 것이 아니라 창조하는 것이다.
13.2장에서는 종교의 위기와 기회를 다루고 있다.
*코로나로 가장 영향을 받는 분야 중 하나는 종교다.예 기독교
1) 과거의 제사 중심의 종교를 제사가 없는 종교로 바꾼 혁명적인 종교가 기독교다.
2) 시선이 모이는 곳에 권력이 생겨난다는 것은 현대 사회에서도 그대로 적용된다. 현대 사회에서 가장 시선을 많이 받는 사람은 미디어에 노출되는 사람들이다. 예) 뉴스 앵커맨
3) 불교와 기독교 모이는 횟수 3 대 52차이다. 공간으로 만들어지는 권력은 목사가 스님보다 17배가량 센 거다. 기독교는 집단적인 종교,불교는 개인적인 종교(종교행위의 시공간적 측면)
4)같은 시간에 같은 장소에 모여서 같은 곳을 바라보게 되면 권력뿐만 아니라 공동체 의식도 강해진다.
5) 복잡한 예식을 치를수록 예식을 인도하는 사람에게 권력이 집중된다.
6) 시공간을 통한 권력 형성의 시작은 '공간'과 '시간'의 제약을 만드는 것이다. 생존하기 위해서 인간은 본능적으로 집단에 속하기를 원한다.
7) 어느 시대든 사회적 약자들은 공간적으로 취약하다.교회의 공간은 주로 일요일에 사용되고 주중에는 비어 있는 곳이 많다.일반 시민들은 주중에 많은 공간을 필요로 한다. 주중에 교회의 여러방을 일반 시민의 공유 오피스나 자습공간으로 운영하면 어떨까? 방역을 하고 낮은 밀도로 운영하면 가능하다. 교회가 신자만을 위한 공간이 아니라, '수고하고 무거운 짐 진'모든 사람을 위한 곳이기에 말이다.
유현준의 책
1.<도시는 무엇으로 사는가> 도시를 보는 15가지 인문적 시선
2.<어디서 살 것인가> 우리가 살고 싶은 곳의 기준을 바꾸다
3.<공간이 만든 공간> 새로운 공간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보너스
*가스라이팅(gaslighting)은 상대방의 심리를 조작해 그 사람이 판단력을 잃게 만들고,이로써 타인을 통제하는 행위를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