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북트래블(95)

북트래블

by 조작가의 책세상 2021. 5. 24. 10:37

본문

<나는 매주 시체를 보러 간다> (유성호 지음)(2019)

"삶을 원하거든 죽음을 준비하라!"
법의학자의 예리한 시선에 인문학적 통찰이 더해진 죽음지침서-죽음을 통한 삶의 이야기이다.

1.삶의 품격을 높이는 '죽음(이라는 것은 우리가 피할 수 없는 생의 마지막 단계이자 자연스러운 섭리이다)'공부다. 저자는 매주,특히 월요일에는 서울대 의과대학에 시체를 보기 위해 출근한다.(20년간 1500여건의 부검담당,부검은 사체를 해부해 검사로 사인등을 알아내려는 것이다)
법의학자는 매일 죽음을 마주하는 직업이다.

2.시체의 신원확인과 의학적인 사망원인을 밝혀낸다. 죽음의 방식,즉 사망종류를 가려낸다.
우리나라는 매년28만명이 사망하는데  타살은 500명 정도이다.자살은 타살의 30배에 달한다.자살자를 부검하는 이유는 타살의 의혹이 없는지 정확히 확인해야하기때문이다.


3.사망종류는 2가지
1)자연사(병사)
2)외인사(알 수 없는 원인에 의한 불상도 포함)
*자살과 타살,사고사로 구분한다.

4.저자에게 자문을 의뢰하는 곳은 법원,검찰,경찰,보험회사다.

5.자살의 원인은 3가지이다.
1)다른 사람에게 짐이 된다는 부채 의식이다.
2)소속감 부재와 그에 따른 커뮤니케이션의 부재이다.
3)죽음에 대한 무감각적인 학습이다.

*가족 중에 자살한 사람이 있는 경우 자살 가능성이 4.2배 상승된다. 자살원인 중 70%는 환경적 요인 30%는 유전적 요인이다.

6.현재 우리나라 자살의 특징은 노인(독거노인) 자살의 급등,젊은 여성의 높은 자살률(정신질환),가족 동반 자살,대중매체의 높은 자살 보도 영향이다.
*베르테르 효과: 유명인이나 평소 자신이 좋아하던 인물이 자살할 경우 그 인물과 자신을 동일시해서 자살을 따라하는 현상인데  모방 자살,자살 전염이라 한다.
*자살은 개인적.사회적.국가적인 관심으로 막을 수 있다.

7.I see it now. This world is swiftly passing!
이제야 깨달았도다.생이 이렇게 짧은 줄을!

8.죽음은 서늘한 여름과 같다.과거에도 사람들이 나를 오해했고,현재도 사람들이 나를 잘못 알고 있고,미래에도 사람들이 아마 나를 잘못 알고 있겠지만,나는 그것이 두렵지 않다.
      신삼국지(중국 드라마) 조조의 유언

9.죽음은 실패가 아닌 자연스러운 질서이다.

10.죽음은 내 인생의 마지막 스토리(종착지)이다.
엘리자베스 '퀴블러 로스(죽음 학자)사망 5단계'
1)부정이다.그럴 리 없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2)분노.어째서 이런 일이 나에게 생겼는지를 따지면서 화를 내는 것이다.
3)타협,즉 '협상'의 심리적 단계로 넘어간다.
4)침체와 '절망'의 단계에 들어서는 것이다.
5)'수용'.이제 어쩔 수 없이 받아들이게 되는 것이다.

11.임종을 원하는 장소 집(57.2%),호스피스 완화의료,병원,요양원 순이다.

12.삶의 마지막 여정이 죽음이라는 사실을 담담히 받아들여야만 현재 우리의 삶을 더 온전하게 살 수 있다.  

카르페 디엠Carpe diem! 현재를 즐겨라!
메멘토 모리 Memento mori! 죽음을 기억하라!

삶의 마지막 순간에 자신이 어떠한 모습이기를 바라는 지 끊임없이 묻고 답하는 과정에서 우리의 삶은 더욱 풍성해지고 깊은 의미를 품는다.

13.삶 속에서 죽음을 준비할 수 있다.
1) 사랑하는 사람에게 평소 사랑한다는 말을 직접 그리고 자주 하라.
2) 죽기 전까지 자신이 진정 하고 싶었던 일,즉 꿈꾸고 있던 일을 하라.
3)내가 살아온 기록을 꼼꼼히 남겨 자신이 사랑하는 사람에게 남겨줄 자산이 있게 하라.
4)자신의 죽음을 처리하는 장례 등에 필요한 최소한의 돈을 모으기 위해 경제 활동을 지속적으로 하라.
5)지금 건강하다면 건강을 소중히 여기고 더욱 건강해지기 위해 노력하라.

"이 세상 여한 없이 살다 간다" 이문구작가 유언

14.'품위 있는 죽음'이란 죽음이 두렵지 않은 상태의 죽음이다. 죽음의 본질은 생명체의 소멸이다.
죽음에 대한 깊은 이해가 동반되어야 비로소 삶의 소중함과 통찰 또한 얻을 수 있고,죽음애 대한 공부야말로 삶에서 가장 가치 있는 배움이다.

'북트래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북트래블(97)  (0) 2021.05.25
북트래블  (0) 2021.05.25
북트래블(94)  (0) 2021.05.24
북트래블(93)  (0) 2021.05.23
북트래블(91)  (0) 2021.05.20

관련글 더보기